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어떻게 '인간을 제물로 바치느냐'고요?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나기도 하는군요ㄷㄷㄷ 제가 <칼리의 노래> 번역하면서 조사한 바로는 좌도(左道) 탄트리즘, 즉 탄트라 신앙에서 다소 어두운 부분을 추종하는 일파들이 인신공양제를 올린다고 하더군요. 특히 카팔리카라든지 파슈파타 같은 시바 파 쪽이 이런 성향이 강하다고 합니다.
사실 기독교의 경우(구약성서의 입다와 그 어린 딸)도 그렇고 거의 대부분의 고대 종교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인신공양에 대한 희미한 기억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지요. 하지만 그짓을 21세기에도 계속 하고 있다면 문제겠죠. 문화상대주의를 윤리상대주의로 착각해서는 안 될 일입니다.

  "검은 옷을 입은 남자 둘이 앞으로 나와 손짓했습니다. 우리는 그들을 따라, 검은 커튼으로 가려진 작은 벽감 여럿이 나 있는 창고 사원의 한쪽 벽으로 향했습니다. 카팔리카들은 결혼식장의 안내인처럼 손짓하면서, 우리들 각자에게 구획된 공간 하나씩을 지정한 다음, 다음 사람에게 들어갈 장소를 보여주려고 자리를 옮겼습니다. 산자이는 어두운 자기 벽감으로 들어갔는데, 저는 검은 옷을 입은 남자가 앞에서 손짓하는 동안 잠시 멍하니 서 있기만 했습니다.
  공간은 비좁았고,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둘러본 주위 돌벽에는 가구나 장식품 같은 것도 없었습니다. 검은 옷의 남자는 '무릎을 꿇으십시오.'라고 속삭이고는 묵직한 커튼을 닫았습니다. 마지막 빛 한 줄기가 사라졌습니다. 저는 무릎을 꿇었습니다.
  주위는 쥐죽은 듯 고요했습니다. 강물 흐르는 소리마저 후텁지근한 정적 속을 뚫고 들어오지는 못하더군요. 심장이 두근거리며 뛰도록 내버려 두고 그 맥박을 스물 일곱까지 세었을 때, 귓가에 대고 속삭이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그건 여자의 목소리였어요. 아니, 그보다도, 성별을 알 수 없는 부드러운 목소리라고 해야겠네요. 저는 깜짝 놀라 펄쩍 뛰면서 손을 휘둘렀지만 주위에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내게 제물을 바치거라.' 목소리는 이렇게 속삭였습니다.
  저는 부들부들 떨면서 무릎을 꿇고, 다시 한 번 말을 걸어오는 목소리나 저를 건드리는 손길을 기다렸습니다. 잠시 후 커튼이 옆으로 젖혀지자 일어서서 벽감을 나왔습니다.
  우리 입문자들이 어느새 신상 앞에 반원형으로 모였을 때, 모두 일곱 명 밖에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잘 됐네, 도망친 모양이군, 하고 생각했죠. 그런데 산자이가 제 팔을 건드리더니 여신 쪽으로 고갯짓을 했습니다. 여신이 춤추며 밟고 있는 벌거벗은 시체는 아까 것보다 더 젊고 신선했습니다. 그리고 머리가 없었죠.
  여신의 네 번째 손은 더 이상 비어 있지 않았습니다. 여신이 머리채를 움켜쥐어 들고 있는 무언가가 약간 흔들렸습니다. 그 애의 얼굴에는 약간 놀란 표정이 떠올라 있었습니다. 핏방울이 바닥에 뚝뚝 떨어지면서 비가 쏟아지려 할 때처럼 부드러운 소리를 냈습니다.
  누구도 비명을 지르지 않았습니다.
  '칼리, 칼리, 발로 바이.' 우리는 노래했습니다. '칼리 바이 아레 가테 나이.'"
by 애쉬블레스 | 2010/04/18 03:37 | 트랙백 | 덧글(4)
트랙백 주소 : http://ashbless.egloos.com/tb/2585531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Commented at 2010/04/18 03:40
비공개 덧글입니다.
Commented by 애쉬블레스 at 2010/04/18 03:47
아, 옙. 감사합니다^^;;;
Commented by 파인로 at 2010/04/18 22:23
현기증 납니다 ㅠㅠ
Commented by 핫독 at 2010/07/16 17:19
오빠 안녕?
명록이도 한개없네ㅋㅋㅋ

결혼준비잘하구 항상 행복해!!

:         :

:

비공개 덧글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